http://dktfrmaster.blogspot.kr/2018/



  • 안드로이드에서도 자바와 마찬가지로 java.lang.Thread 클래스가 모든 스레드의 근간이 된다.

1.기본개념

생명주기

  • Thread.State enum에 정의되어 있으며, Thread 인스턴스의 getStatus() 메서드를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.

NEW

  • Thread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한 직후의 상태
  • Thread 인스턴스 생성이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보다 무겁지는 않다.
  • 생성된 스레드는 현재 스레드와 동일한 우선순위의 스레드그룹으로 할당된다.
    • ex) UI스레드에서 생성하면 UI스레드와 동일한 우선순위의 스레드그룹이 된다.

RUNNABLE

  • Thread.start() 메서드가 호출되어 실행환경이 설정된 직후부터 스레드가 실행되는 중의 상태
  • 이후에 OS의 스케쥴러가 스레드를 선택하면 run() 메서드가 호출되어 태스크가 실행된다.

BLOCK / WAITING / TIMED_WAITING

  • I/O 동작, 다른스레드와의 자원동기화, 블로킹 API호출 등 스레드의 실행이 멈출 때의 상태들
  • 스레드를 명시적으로 실행을 멈추는 방법
    • Thread.sleep() : 스레드를 일정시간 동안 자도록 만든후 다시 실행하도록 스케쥴되도록 함
    • Thread.yield() : 현재 실행을 포기하고 스케줄러가 어떤 스레드를 실행할지 결정하도록 함

TERMINATED

  • run() 메서드가 실행을 완료하면 스레드가 종료되고 스레드의 자원이 해제된 후의 상태
  • 스레드가 종료되고 나면 해당 스레드의 인스턴스와 실행환경은 재사용할 수 없다.
  • 실행환경을 설정/해제하는 것은 매우 무거운 동작
  • 스레드가 동작을 명시적으로 종료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. - interrupt() 메서드 호출

인터럽트

  • 스레드를 명시적으로 종료하고 싶을 때, 스레드에 interrupt() 메서드를 이용해 인터럽트를 요청
  • 어디까지나 요청일 뿐, 인터럽트 호출에 대한 실행여부는 스레드 자체가 결정한다.
  • 일반적으로 스레드의 인터럽트는 공동으로(Collaboratively) 구현되어야 한다.
class TestThread extends Thread {
    @Override
    public void run() {
        //isInterrupt() 메서드를 수시로 검사하여 true를 반환하면 태스크를 완료한 것으로 처리
        while(!isInterrunpted()) {
            //스레드가 살아있음
        }
        //태스크 완료되어 스레드 종료됨
    }
}
  • 스레드 내에서 블로킹 API를 사용중이라 스레드가 차단되어있는 중에 인터럽트 신호를 받으면 블로킹 API는 InterruptException 을 던진다.
    • InterruptException이 던져지면 인터럽트 플래그가 리셋되므로 주의한다.
class TestThread extends Thread {
    @Override
    public void run() {
        //isInterrupt() 메서드를 수시로 검사하여 true를 반환하면 태스크를 완료한 것으로 처리
        while(!isInterrunpted()) {
            doBlockingAction();
        }
    }
    
    public void doBlockingAction() {
        try {
            //Blocking API 호출
        } catch (InterruptException e) {
            //1.자원 정리
            //2.isInterrupt() 플래그가 초기화되었으므로, run() 메서드가 isInterrupt()를 제대로 인식하도록 자신을 다시 인터럽트
            Thread.currentThread().interrupt();
        }
    }
}

잡히지 않는 예외

  • 모든 스레드는 RuntimeException이 발생했을 때, 이 예외를 처리해주지 않으면 스레드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다.
  • 스레드 내에서 발생하는 RuntimeException을 잡으려면, 스레드가 비정상 종료되기 전에 호출되는 UncaughtExceptionHandler를 부착한다.
    • 모든 스레드에 전역 핸들러를 부착할 경우 : Thread 클래스의 setDefaultUncaughtExceptionHandler() 정적 메서드 호출
    • 특정 스레드에 지역 핸들러를 부착할 경우 : Thread 인스턴스의 setUncaughtExceptionHandler() 메서드 호출
    • 위의 두가지 경우가 모두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특정 스레드마다 붙은 핸들러가 우선시되어 모든스레드에 부착된 핸들러는 호출되지 않는다.
  • 안드로이드 런타임은 앱이 시작될 때 전역 핸들러를 부착한다. 이 전역 핸들러의 기본동작은 잡히지 않은 예외가 발생했을 때, 프로세스를 죽이는 것으로 모든 스레드가 동등하게 처리된다.
  • Ex - 앱이 크래시되기 직전에 로그남기기
// 앱 시작시 실행되는 아무 클래스
public class MyApplication extends Application {
    @Override
    public void onCreate() {
        super.onCreate(0;
        //새로운 전역 핸들러를 설정
        Thread.setDefaultUncaughtExceptionHandler(new LogExceptionHandler());
    }
}

//새로 정의한 예외핸들러 클래스
public class LogExceptionHandler implements Thread.UncaughtExceptionHandler {
    private final Thread.UncaughtExceptionHandler defaultHandler;
    
    public LogExceptionHandler() {
        defaultHandler = Thread.getDefaultUncaughtExceptionHandler();
    }
    
    @Override
    public void uncaughtException(Thread thread, Throwable throwable) {
        //로그를 파일로 남기거나 서버로 전송
        
        //안드로이드 런타임이 붙였던 기존 핸들러로 작업 위임
        default.Handler.uncaughtException(thread, throwable);
    }
}

2.스레드 관리

스레드 정의(Define)와 시작

  • 스레드 정의 방법에 따라, 그 스레드의 생명주기가 다르다. 그래서 때때로 안드로이드의 컴포넌트(Activity, Service, BroadcastReceiver, ContentProvider)와 생명주기가 달라서 메모리 누수를 일으키기도 한다.

익명 내부클래스로 정의

  • 익명 내부클래스는 구현이 간단하지만, 외부클래스의 인스턴스에 대한 참조를 내부적으로 유지하고 있다.
public class AnyObject {
    //UI 스레드에서 호출되는 메서드
    @UiThread
    public void anyMethod() {
        new Thread() {
            @Override
            public void run() {
                // 긴 태스크를 실행한다고 가정
                // 해당 스레드가 살아있는 동안 이 스레드는 AnyObject 인스턴스의 참조를 유지하고 있다.
                doLongRunningTask();
            }
        }.start();
    }
}

공개된 독립 클래스로 정의

  • 스레드를 실행하는 인스턴스에 대한 잠재적인 참조를 유지하지는 않지만, 클래스의 개수가 많아진다.
class TestThread extends Thread {
    @Override
    public void run() {
        // 긴 태스크를 실행한다고 가정
        doLongRunningTask();
    }
}

public class AnyObject {
    //UI 스레드에서 호출되는 메서드
    private TestThread testThread;
    
    @UiThread
    public void anyMethod() {
        testThread = new TestThread();
        testThread.start();
    }
}

정적 내부 클래스로 정의

  • 외부 클래스의 클래스 객체에 대한 내부참조를 유지하고 있다. 그렇지만 클래스객체의 참조는 메모리 누수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.
public class AnyObject {
    static class TestThread extends Thread {
        @Override
        public void run() {
            // 긴 태스크를 실행한다고 가정
            doLongRunningTask();
        }
    }

    private TestThread testThread;

    //UI 스레드에서 호출되는 메서드
    @UiThread
    public void anyMethod() {
        testThread = new TestThread();
        testThread.start();
    }
}

스레드 유지

  • Activity의 설정이 변경되면 기본적으로 Activity는 재시작되며 가지고있던 멤버변수들도 초기화된다. - 당연히 스레드도 초기화되어 새로운 객체로 생성되어 다시 시작된다.
  • 해당 증상을 방지하기 위해 Activity와 Fragment는 설정의 변경에도 객체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.

Activity에서 스레드 유지

  • pulbic Object onRetainNonConfigurationInstance()
    • 설정 변경이 일어나기 전에 플랫폼에 의해 호출되는 콜백메서드
    • 새로 생성되는 Activity 객체에 전달할 객체를 반환하도록 구현해야 한다.
  • public Object getLastNonConfigurationInstance()
    • 설정 변경이 이루어진 후, 새로 생성된 Activity 객체에서 호출하는 메서드
    • onRetainNonConfigurationInstance() 메서드에서 반환한 객체를 반환한다.
    • 설정 변경이 아닌 다른이유로 Activity가 재시작 될 경우 null을 반환한다.
  • 예제
public class TestActivity extends Activity {
    private static class TestThread extends Thread {
        @Override
        public void run() {
            //TODO::긴 작업
        }
    }

    private static TestThread thread;

    @Override
    public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
        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
        setContentView(R.layout_activity_test);
        Object retainedObject = getLastNonConfigurationInstance();
        if (retainedObject != null) {
            thread = retainedObject;
        } else {
            thread = new TestThread();
            thread.start();
        }
    }
    
    @Override
    public Object onRetainNonConfigurationInstance() {
        if (thread != null && thread.isAlive()) {
            return thread;
        }
        return null;
    }
}

Fragment에서 스레드 유지

  • Fragment의 상태 유지요청 메서드인 setRetainInstance(true)를 이용하여 프레그먼트를 유지한다.
  • 예제
public class TestFragment extends Fragment {
    private static class TestThread extends Thread {
        @Override
        public void run() {
            //TODO::긴 작업
        }
    }

    private TestThread thread;
    
    @Override
    public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
        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
        if (thread == null) {
            thread = new Thread();
            thread.start();
        }
        // 이 메서드만 설정해주면 프레그먼트는 엑티비티의 설정이 변경되는 동안 객체가 유지된다.
        setRetainInstance(true);
    }
}

public class TestActivity extends Activity {
    TestFragment fragment;
    @Override
    public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
        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
        setContentView(R.layout_activity_test);
        FragmentManager manager = getFragmentManager();
        fragment = manager.findFragmentByTag("TestFragment");
        if (fragment == null) {
            FragmentTransaction transaction = manager.beginTransaction();
            fragment = new Fragment();
            transaction.add(fragment, "TestFragment");
            transaction.commit();
           
        }
    }
}